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sychological Assessment Test for Korean Traditional Medicine
본 연구는 환자의 개별성을 기반으로 치료 방법을 수립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임상 환경에서는 환자를 단순히 진단체계에 부합하는 증상을 지니고 있는 지 만을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진단을 내리고 진단에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환자가 자신의 치료 계획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며 낮은 치료 효과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양의학에 기반한 진료 체계에서 벗어나 한의학의 진료 체계를 기반으로 접근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진단 도구에서 벗어나, 환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 초진단적 평가 도구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극성 장애 재발 요인 연구
Bipolar Disorder Recurrent Factor Study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 장애와 정상군을 변별하는 다양한 디지털 표현형(digital phenotype) 중 유용한 디지털 표현형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합니다. 양극성 장애는 (경)조증 상태를 탐지하지 못하여 우울장애로 오진단되거나 진단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재 양극성 장애를 진단하는 SCID, 면담 등은 환자의 후향적 보고를 기반으로 하므로 편향된 정보만을 수집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현재 디지털 표현형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표현형이란 디지털 기기에서 심박수, 수면정보, 전화 및 문자사용 정보 등 실시간으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의 건강상태나 질병의 징후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 양극성 장애 조기 감지(early detection)에 있어서 심박수, 수면정보, 전화 및 문자 사용정보 등 다양한 디지털 표현형 정보 중 어떤 디지털 표현형 정보가 유용한지 통합적인 연구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 장애를 예측하는 디지털 표현형이 무엇인지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양극성 장애 예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암 환자 대상 심각도에 따른 디스트레스 완화 자기관리 기반 앱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Management App-Based to Mitigate Distress by Severity in Cancer Patients
본 연구는 암 환자의 정신적인 고통인 디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평가 및 관리 모델을 개발하고 디지털 기반으로의 기술을 개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적절하게 관리되지 못한 디스트레스는 암 환자들에게 여러가지 신체 증상의 악화, 삶의 질 저하, 치료 순응도의 저하, 일상으로의 복귀 지연 등의 문제들을 초래합니다. 특히 암 진단 초기에 자살의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그에 따라 암 진단 초기에 디스트레스에 대한 조기 개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암 진단 초기부터 근거기반을 둔 디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여 표준화된 매뉴얼로 제공함으로써 암생존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체계화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 고도화에 기여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스트레스 자기관리를 위한 앱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암의 여정에 따라 개입하여 효과검증을 위해 다기관에서 임상연구를 진행하여 암 환자를 위한 앱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Publications
SCI
Kim, B. R., Hur, J. W., Park, D. S., Moon, H. R., & Choi, S. W. (2022). Increased neural responses to negative facial emo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dysfunctional attitudes among unmedicated individual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Current Psychology, 1-12.
Kwan, Y., Yoon, S., Suh, S., & Choi, S. (2022).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Neurofeedback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Patients: Pilot Study.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1-12.
Lee, J., Kwan, Y., Lee, J. Y., Shin, J. I., Lee, K. H., Hong, S. H., ... & Park, M. B. (2021). Public interest in immunity and the justification for interven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Analysis of Google Trends data.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3(6), e26368.
Kwan, Y., Choi, S., Eom, T. R., & Kim, T. H. (2021).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to Explore Interpersonal Schema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Based on Autobiographical Memor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8(5), 2316.
Kwan, Y., Choi, S., Min, S., Ahn, J. S., Kim, H., Kim, M. H., & Lee, J. (2021). Does personality problems increase youth suicide risk?: A characteristic analysis study of youth who visit the emergency department following suicide attempt.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82, 539-544.
Seo, H. S., Jeong, E. K., Choi, S., Kwon, Y., Park, H. J., & Kim, I. (2020). Changes of Neurotransmitters in Youth with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A Comparison with Healthy Controls and Changes aft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41(7), 1293-1301.
Oh, S., Kim, A., Kang, E., & Choi, S. (2020). Resting State Brain Network Function in Elderly: The Formation of Social 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ical Research, 13(2), 59-67.
Shim, H. J., Go, G., Lee, H., Choi, S. W., & Won, J. H. (2019). Influence of visual deprivation on auditory spectral resolution, temporal resolution, and speech perception. Frontiers in neuroscience, 13.
Yang, D., Hur, J. W., Kwak, Y. B., & Choi, S. W. (2018).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pplicability of web-based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mpairment. Psychiatry investigation, 15(8), 759.
Hur, J. W., Kim, B., Park, D., & Choi, S. W. (2018). A scenario-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obile app to reduce dysfunctional beliefs in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elemedicine and e-Health, 24(9), 710-716.
Kwan, Y., Baek, C., Chung, S., Kim, T. H., & Choi, S. (2018). Resting-state quantitative EEG characteristics of insomniac patients with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124, 26-32.
Suh, S., Yang, H. C., Kim, N., Yu, J. H., Choi, S., Yun, C. H., & Shin, C. (2017). Chronotyp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population-based study among aged and older adults. Behavioral sleep medicine, 15(5), 361-376.
Park, H. Y., Kim, J. H., Choi, S., Kang, E., Oh, S., Kim, J. Y., & Kim, S. W. (2015). Psychological effects of a cosmetic education programm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4(4), 493-502.
Moon, E., Chang, J. S., Choi, S., Ha, T. H., Cha, B., Cho, H. S., … & Ha, K. (2014). Characteristics of stress-coping behavior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s. Psychiatry research, 218(1-2), 69-74.
[2022]
이연주, 최승원. (2022). 대학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한 학업적 적응 예측. 청소년학연구, 29(12), 229-255.
고그림, 한영경, 최승원. (2022).임상심리전문가의 역량 분석: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방향성 모색.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8(2),301-324.
박규나, 최승원. (2022). SNS 이용 및 중독경향성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 대인관계 성향의 관계. 인문사회 21, 13(6), 549-564.
[2021]
이연주, 최승원. (2021). 대학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한 학업유지 예측.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8(1), 31-48.
[2020]
조은영, 최승원. (2020). 뇌졸중 후 인지 손상 측정을 위한 신경심리평가도구에 관한 고찰. 재활심리연구, 27(3), 49-63
김아란, 강은지, 김보은, 이성은, 최승원. (2020). 노인의 사회연결망 크기와 고독감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2), 379-392.
홍지은, 김보은, 최승원. (2020). 여대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우울의 관계: 사회연결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1), 15-24.
이동주, 최승원. (2020). 임상심리 관련 자격증 소지자들의 보수교육 욕구조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1), 64-77.
[2019]
이슬아, 최승원. (2019). 수면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8(2), 171-181.
김아란, 김동우, 이유진, 최승원. (2019). 노인의 성격요인과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고독감의 매개효과: 신경증과 외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1), 209-221.
최승원, 김종남, 이순묵, 채정민, 서동기, 이혜림, … & 이유진. (2019). 일상적 우울이 임상적 우울로 발전하는 경로에 대한 모형탐색.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8(4), 357-368.
박은혜, 최승원. (2017). 미래 사건 영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3(1), 69-106.
양재원, 민병배, 김정호, 성태훈, 예영주, 이영준, … & 최승원. (2017). 임상심리전문가 교육수련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1), 1-9.
박은혜, 최승원. (2017). 미래 사건 영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3(1), 69-106.
양재원, 민병배, 김정호, 성태훈, 예영주, 이영준, 이원혜, 진주희, 최기홍, 최승원. (2017). 임상심리전문가 교육수련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1), 1-9.
[2016]
이혜림, 명재석, 오설아, 최승원. (2016). 사회연결망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내 상호친밀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925-942.
임향, 최승원. (2016). 청소년 우울의 발달궤적 유형과 예측요인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3), 455-480.
윤슬기, 이한나, 최승원, 김제중 (2016). 불안수준과 처리수준이 정서자극의 기억편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8(3), 479-493.
윤슬기, 이서영, 김성욱, 조병주, 최승원. (2016). 수련생 관점에서 본 임상심리전문가 수련 과정에 대한 평가.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2(1), 59-87.
[2015]
권윤나, 최승원 (2015).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심리생리학적 특성: 휴식기 정량적 뇌파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4), 893-912.
채정민, 이순묵, 김종남, 최승원. (2015). 한국인 우울 연구를 위한 문화심리학적 고찰과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05-225.
[2014]
이연주, 최승원. (2014). 인터넷 중독에서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의 자아정체감 불일치가 미치는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학술지), 22(2): 59-81
이혜림, 김수현, 박은혜, 김나현, 최승원. (2014). 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919-945.
김경미, 최승원, 정인철. (2014). 중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659-676.
한정숙, 최승원, 김미리혜. (2014).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3), 791-816.
Chad Ebesutani, Sung Won Choi. (2014).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Knowledge of Evidence-based Services Questionnair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19-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