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부적응 대학생 조기진단
Network analysis for Early detection of maladjusted college student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대학 부적응을 조기 발견하여 구성원의 조직 적응 증진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대학생활에 적응이 어려워 학업을 중단하거나 다양한 심리적 불편감을 경험하는 경우, 부적응을 예측한다면 심리적 개입을 시도하고 기능적 적응을 도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우리는 대학생의 교내외 사회연결망 분석을 시도합니다. 사회연결망이란 사회적 관계에서 상호 우호성과 적대성, 한 카테고리 내에서 연결된 방식 등을 확인하여 인간행위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본 연구팀은 대학생들의 교내외 사회연결망을 통하여 우울, 걱정, 불안, 자살사고,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알코올 중독 등의 정신건강지표를 점검하고 대학생활적응을 연구합니다. 한 개인이 속한 집단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를 확인하여 대인관계가 정신건강 및 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 적절한 조기개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고령운전자 도로안전 증진을 위한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Elderly Adults
본 연구는 국민 교통안전 증대를 위해 고령운전자 스스로 자신의 운전 능력을 측정 및 진단하고,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노화에 따른 신체 및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한 고령 운전자들의 자동차 사고 및 인명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서는 운전능력에 대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운전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 연구팀에서는 신경심리평가를 기반으로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 주의, 처리속도, 집행기능 등의 인지적 요인을 분석 및 도출하고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페이퍼 기반 체크리스트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한 노화’ 연구는 대한민국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60대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종단 연구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정신건강, 인지기능, 사회 연결망 및 대인관계의 질, 신체 건강, 의학적 상태, 건강 행동을 비롯하여 이 모든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성공적인 노화’란 무엇인가를 탐색하고 다가오는 노년 사회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한 노화’ 연구팀에서는 심리학, 정신의학, 사회학, 예방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들에서의 학문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그 토대 위에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임상심리연구실에서는 노년기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변인에 대해 알아보고 뇌의 연결성, VBM 등을 통해 인간의 뇌가 그 사이에서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자서전적 기억(AM) 기반 독거노인 정서지원 및 역량강화 커뮤니티 구축 모델 개발
Development Model of Autobiographical Memory (AM)-based Community for
Emotional Support and Empower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자서전적 기억(AM) 기반 독거노인 정서지원 및 역량강화 커뮤니티 구축 모델 개발’ 연구는 독거노인의 우울, 고립감, 고독사 등을 예방하는 사회적 관계망 구축을 목적으로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효과적 모델을 개발하고 공공, 민간, 시민 협력체계(Public-Private-People Partnerships, 4P)를 이루어서비스 제공자, 수요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반영한 모델을 형성하고자 한다. 더불어, 독거 노인건강 불평등이나 돌봄의 사각지대 완충 및 의료 예방적 가치를 구현하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 첫째, 독거노인 돌봄자용 자서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 AM) 기반 면담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돌봄자 면담기술을 향상시키고, 독거노인의 자기정체성(Self-Identity) 이해 및 돌봄자와의 신뢰관계 증진을 통해 사회관계망 확대의 동기와 자발성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둘째, AM 기반 정서지원 커뮤티니 별로 집단응집력을 강화하는 기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자조적 정서교류 기회 및 자조모임 기틀을 제공하여 독거노인과 돌봄자의 일대일 관계를 벗어난 확장된 사회관계망을 형성하게 돕는 것입니다.

정신질환 고위험군의 역기능적 도식 및 기분 조기개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효과성 검증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pplication for Dysfunctional Schemas and Early Intervention for High-risk groups of Mental Illness
‘정신질환 고위험군의 역기능적 도식 및 기분 조기개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효과성 검증’ 연구팀은 우울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조모임을 구성하고 그를 통한 우울감 감소 및 정서조절을 돕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 기반 어플리케이션 ‘마성의 토닥토닥’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의 후속 연구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역기능적신념을 체계적으로 재구조화 하는 해법 중심의 심리 치료 유형입니다. 인지행동치료를 통해서는 역기능적 신념을 식별하고 그 타당성과을 평가하면서 점차 현실적이며 적응적인 생각들로 대체하는 일련의 훈련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는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정서를 증가시키는데 큰 기여를 합니다.
본 연구팀은 선행 연구를 통해 개발된 ‘마성의 토닥토닥’ 어플리케이션을 활용, 인지행동치료 기반 자조모임을 구성하여 우울 증상이 있는 개인의 몸과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생각과 감정을 적응적인 방법으로 다루고 내면의 힘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경조성 성격을 가진 사람들의 실패경험과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ilure Experience and Depression Symptoms of People with hypomanic personality
본 연구에서는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어떠한 기제를 통해 우울 삽화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이 양극성 장애로의 이환을 불러일으키는지를 탐색하고자 합니다. 경조성 성격이란 경조 성향이 강하고 뚜렷하여 개인의 인지·정서·행동적 측면에서 일관된 성격적 특성으로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조성 성격을 가진 개인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활동적이며, 높은 에너지 수준을 지니고, 사교성이 높은 것 등 다소 적응적이고 긍정적인 모습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런 반면 경조성 성격은 많은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병전성격으로 보고되고 있을 만큼 양극성장애로의 높은 이환 가능성을 지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의 어떠한 특성이 우울삽화를 포함하는 양극성 장애로 발전하게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다소 부족한 실정입니다.
본 연구의 목표는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경조성 성격이 양극성 장애로 이환되는 경로를 밝히는 것입니다. 이에 더해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양극성 장애로 이환하는 것을 예방하는 적절한 개입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