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조성 성격을 가진 사람들의 실패경험과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ilure Experience and Depression Symptoms of People with hypomanic personality


본 연구에서는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어떠한 기제를 통해 우울 삽화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이 양극성 장애로의 이환을 불러일으키는지를 탐색하고자 합니다. 경조성 성격이란 경조 성향이 강하고 뚜렷하여 개인의 인지·정서·행동적 측면에서 일관된 성격적 특성으로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조성 성격을 가진 개인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활동적이며, 높은 에너지 수준을 지니고, 사교성이 높은 것 등 다소 적응적이고 긍정적인 모습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런 반면 경조성 성격은 많은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병전성격으로 보고되고 있을 만큼 양극성장애로의 높은 이환 가능성을 지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의 어떠한 특성이 우울삽화를 포함하는 양극성 장애로 발전하게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다소 부족한 실정입니다.

본 연구의 목표는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경조성 성격이 양극성 장애로 이환되는 경로를 밝히는 것입니다. 이에 더해 경조성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양극성 장애로 이환하는 것을 예방하는 적절한 개입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정신장애의 한의 진단 및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oriental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for the mental disorder


본 연구는 화병을 평가하기 위한 기존의 척도를 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화병은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한국의 문화관련증후군으로 분류된, 한국 문화와 관련이 깊은 정신 장애입니다. 이러한 화병은 가슴의 답답함, 열감, 치밀어 오름, 몸이나 명치에 뭉쳐진 덩어리가 느껴짐, 억울하고 분한 감정을 자주 느낌, 마음의 응어리나 한을 느끼는 증상 등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정의됩니다. 하지만 시대 흐름에 따라 화병의 증상이 달라지고 있어, 화병을 평가하는 척도를 개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척도의 문제를 보완하여 화병을 타당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화병 척도를 개정하고자 합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팀에서는 한의학 정신건강을 위한 정신장애 스펙트럼에 기반한 초진단적 진단 및 평가 툴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의학 기반 통합적 심리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sychological Assessment Test for Korean Traditional Medicine


본 연구는 환자의 개별성을 기반으로 치료 방법을 수립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임상 환경에서는 환자를 단순히 진단체계에 부합하는 증상을 지니고 있는 지 만을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진단을 내리고 진단에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환자가 자신의 치료 계획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며 낮은 치료 효과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양의학에 기반한 진료 체계에서 벗어나 한의학의 진료 체계를 기반으로 접근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진단 도구에서 벗어나, 환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 초진단적 평가 도구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인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신건강전문요원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plan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본 연구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수련교육 및 슈퍼비전의 실태와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문제점을 찾아내어 정신건강전문요원으로서의 공통역량과 각 직역별 고유역량을 갖출 수 있게 하여 전문성을 강화시키고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향상시킬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습니다.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으로 정신건강전문요원제도가 도입된 이래 국민정신건강종합대책의 수립, 정신보건법 개정 등 사회적 상황의 변화, 전문인력 활동 영역의 확대와 다양화로 인해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날로 급증하는 데 비해 정신건강전문요원의 교육과정 및 교육체계는 새로운 교육내용의 도입이나 표준화된 교육 과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수행된 정신건강전문요원 내 직역별(사회복지, 임상심리, 간호) 수련 및 보수교육 과정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있지만, 대부분 실태조사의 성격으로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각 연구들이 도출한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각 직역별 대표학회나 협회 차원에서 이론교육, 보수교육, 자격 유지를 위한 교육과 훈련을 장려하고 있으나, 이를 강제할 수 있는 규정이나 법적 제도가 없어서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전문성에 대한 철저한 질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건강전문요원제도 운영의 현황을 분석하고 실태를 파악하며, 자격 제도 개편안을 마련하고 최종적으로는 제도와 관련된 법령 개선 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Publications





SCI


Kwan, Y., Choi, S., Eom, T. R., & Kim, T. H. (2021).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to Explore Interpersonal Schema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Based on Autobiographical Memor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8(5), 2316.


Kwan, Y., Choi, S., Min, S., Ahn, J. S., Kim, H., Kim, M. H., & Lee, J. (2021). Does personality problems increase youth suicide risk?: A characteristic analysis study of youth who visit the emergency department following suicide attempt.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82, 539-544.


Seo, H. S., Jeong, E. K., Choi, S., Kwon, Y., Park, H. J., & Kim, I. (2020). Changes of Neurotransmitters in Youth with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A Comparison with Healthy Controls and Changes aft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41(7), 1293-1301.


Oh, S., Kim, A., Kang, E., & Choi, S. (2020). Resting State Brain Network Function in Elderly: The Formation of Social 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ical Research, 13(2), 59-67.


Shim, H. J., Go, G., Lee, H., Choi, S. W., & Won, J. H. (2019). Influence of visual deprivation on auditory spectral resolution, temporal resolution, and speech perception. Frontiers in neuroscience, 13.


Yang, D., Hur, J. W., Kwak, Y. B., & Choi, S. W. (2018).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pplicability of web-based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mpairment. Psychiatry investigation, 15(8), 759.


Hur, J. W., Kim, B., Park, D., & Choi, S. W. (2018). A scenario-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obile app to reduce dysfunctional beliefs in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elemedicine and e-Health, 24(9), 710-716.


Kwan, Y., Baek, C., Chung, S., Kim, T. H., & Choi, S. (2018). Resting-state quantitative EEG characteristics of insomniac patients with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124, 26-32.


Suh, S., Yang, H. C., Kim, N., Yu, J. H., Choi, S., Yun, C. H., & Shin, C. (2017). Chronotyp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population-based study among aged and older adults. Behavioral sleep medicine, 15(5), 361-376.


Park, H. Y., Kim, J. H., Choi, S., Kang, E., Oh, S., Kim, J. Y., & Kim, S. W. (2015). Psychological effects of a cosmetic education programm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4(4), 493-502.


Moon, E., Chang, J. S., Choi, S., Ha, T. H., Cha, B., Cho, H. S., … & Ha, K. (2014). Characteristics of stress-coping behavior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s. Psychiatry research, 218(1-2), 69-74.





[2021]


이연주, 최승원. (2021). 대학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한 학업유지 예측.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8(1), 31-48.



[2020]


조은영, 최승원. (2020). 뇌졸중 후 인지 손상 측정을 위한 신경심리평가도구에 관한 고찰. 재활심리연구, 27(3), 49-63


김아란, 강은지, 김보은, 이성은, 최승원. (2020). 노인의 사회연결망 크기와 고독감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2), 379-392.


홍지은, 김보은, 최승원. (2020). 여대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우울의 관계: 사회연결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1), 15-24.


이동주, 최승원. (2020). 임상심리 관련 자격증 소지자들의 보수교육 욕구조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1), 64-77.



[2019]


이슬아, 최승원. (2019). 수면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8(2), 171-181.


김아란, 김동우, 이유진, 최승원. (2019). 노인의 성격요인과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고독감의 매개효과: 신경증과 외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1), 209-221.


최승원, 김종남, 이순묵, 채정민, 서동기, 이혜림, … & 이유진. (2019). 일상적 우울이 임상적 우울로 발전하는 경로에 대한 모형탐색.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8(4), 357-368.


최리라, 최승원, 오진경. (2019). 경계선 성격장애에서의 공허감 척도개발. 스트레스硏究, 27(1), 98-106.


오승민, 최승원. (2019). 지능검사에서 문항의 변경이 규준집단의 분포형태 및 표준점수 산출에 미치는 영향: K-WAIS 바꿔쓰기와 K-WAIS-IV 기호쓰기를 중심으로. 스트레스硏究, 27(1), 82-90.


서동기, 이순묵, 김종남, 최승원, 채정민, 정선호, … & 김명기. (2019). 단축형 심리검사 개발의 측정학적 방법과 타당화: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1), 75-102.


김수현, 이서영, 최승원. (2019). 양극성 장애 자가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5(1), 85-119.



[2018]


이순묵, 김종남, 채정민, 최승원, 서동기. (2018). 개인선별용 일상우울척도 단축형의 개발 및 타당화. 스트레스硏究, 26(4), 277-289.


김종남, 최승원, 정선호, 이헌정, 조철현, 박새봄, 김다은. (2018).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하위모듈 개발: 예비 연구. 스트레스硏究, 26(3), 173-185.


이순묵, 김종남, 채정민, 최승원, 서동기. (2018). 일상우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3), 411-430.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이헌정, 원은수. (2018).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스트레스硏究, 26(2), 103-114.


최승원, 이순묵, 김종남, 최윤경, 서동기, 채정민. (2018). 반응성 우울과 내인성 우울의 현대적 재개념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7(2), 213-226.


오진경, 박혜연, Chad Ebesutani, 최승원. (2018). 한국판 경조성 성격 척도의 타당화 연구. 스트레스硏究, 26(1), 7-17.


엄정연, 최승원. (2018). 한국 임상심리학자의 종합심리검사에 대한 견해와 활용 실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1), 1-17.



[2017]


이서영, 김수현, 최승원. (2017). 인지행동치료 기반 양극성장애 우울삽화용자가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양극성스펙트럼장애 위험집단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 17(4), 469-487.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최윤경, 조철현. (2017). 한국형 역기능 우울 척도의 문항개발 및 문항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4), 849-882.


임혜진, 최승원. (2017). 성격 특성 지각이 신체적 매력 지각에 미치는 영향: 정직성과 외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9(4), 423-445.


이순묵, 김종남, 최승원, 채정민, 최윤경, 서동기, 권호인. (2017). 우울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향: 행동과학적 접근의 도입.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6(3), 293-323.


김성욱, 권윤나, 최승원. (2017). 베타 감소 뉴로피드백 훈련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511-530.


전정은, 최승원 (2017).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불면장애 치료: EEG Beta 감소 프로토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3), 351-368.


전은경, 최승원, 임혜진. (2017). 델파이 방법을 통한 한국 임상심리학의 교육훈련 방향성 모색.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3), 418-433.


정수진, 최승원. (2017). 노년기 인지적 상실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공동체 활동 지속성의 조절효과: 강화도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2), 355-374.


박숙영, 최승원. (2017).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영화 활용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사회인지 능력 및 사회적 기능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6(1), 305-337.


채인화, 최승원. (2017). 대인관계 네트워크에서 연결정도와 노인의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노년학, 37(2), 329-347.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최윤경, & 조철현. (2017). 한국형 역기능 우울 척도의 문항개발 및 문항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4), 849-882.


박은혜, 최승원. (2017). 미래 사건 영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3(1), 69-106.


양재원, 민병배, 김정호, 성태훈, 예영주, 이영준, … & 최승원. (2017). 임상심리전문가 교육수련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1), 1-9.


박은혜, 최승원. (2017). 미래 사건 영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3(1), 69-106.


양재원, 민병배, 김정호, 성태훈, 예영주, 이영준, 이원혜, 진주희, 최기홍, 최승원. (2017). 임상심리전문가 교육수련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1), 1-9.




[2016]


이혜림, 명재석, 오설아, 최승원. (2016). 사회연결망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내 상호친밀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925-942.


임향, 최승원. (2016). 청소년 우울의 발달궤적 유형과 예측요인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3), 455-480.


윤슬기, 이한나, 최승원, 김제중 (2016). 불안수준과 처리수준이 정서자극의 기억편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8(3), 479-493.


윤슬기, 이서영, 김성욱, 조병주, 최승원. (2016). 수련생 관점에서 본 임상심리전문가 수련 과정에 대한 평가.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2(1), 59-87.



[2015]


권윤나, 최승원 (2015).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심리생리학적 특성: 휴식기 정량적 뇌파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4), 893-912.


채정민, 이순묵, 김종남, 최승원. (2015). 한국인 우울 연구를 위한 문화심리학적 고찰과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05-225.




[2014]


이연주, 최승원. (2014). 인터넷 중독에서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의 자아정체감 불일치가 미치는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학술지), 22(2): 59-81


이혜림, 김수현, 박은혜, 김나현, 최승원. (2014). 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919-945.


김경미, 최승원, 정인철. (2014). 중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659-676.


한정숙, 최승원, 김미리혜. (2014).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3), 791-816.


Chad Ebesutani, Sung Won Choi. (2014).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Knowledge of Evidence-based Services Questionnair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19-146.


표정자, 최승원. (2014). 마음챙김 기술과 소진의 관련성 연구. 스트레스연구, 22(1), 43-54.



[2013]


최우창, 김나현, 최승원, 정인철. (2013). 우울증상에 대한 심리척도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연구-비우울증, 화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24(4), 363-372.